얼마 전, 피라미의 즐거움에 대해서 얘기한 장자(莊子)와 혜자(惠子)의 대화를 읽었다.

 

 

 

장자 : 피라미가 조용히 노니니 이는 물고기의 즐거움이로다.

 

혜자 : 그대는 물고기가 아닌데 어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아는가?

 

장자 : 그대는 내가 아닌데 내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모르는 줄로 어찌 아는가?

 

혜자 : 나는 그대가 아니므로 진실로 그대를 알지 못하니, 그대는 물고기가 아니므로 그대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모르는 것은 분명하다.

 

 

 

산에 가지않아도 산에서의 즐거움, 산에서의 행복함을 알고 있으니... 

 

그래도 산에 간다.

 

 

 

 

 

 

 

쭈꾸미 너는 나에게로와 하나의 설설 녹는 꾸미맛 솜사탕이 되었구나

 

 

 

 

 

 

 

3월 11일 금요일, 퇴근을 하고 가방을 둘러메고 부랴부랴 망우역으로 간다.

  

지하철을 타고 팔당역에 내린다.

 

내가 늦는 바람에 지하철을 늦게 탔고 팔당역에 도착하니 시간이 10시를 향해간다.

 

초입에서 사진을 찍었지만 몸쓸 수전증에 실루엣만;;;

 

 

 

 

 

 

 

 

 

 

 

예봉산 들어가는 초입은 내가 원하는 등산로를 축소시켜놓았다.

 

적당한 오르막, 계단이 없는 계곡길, 아직은 앙상한 나무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등산로.

 

 

 

 

 

 

  

 

 

 

 

 

 

 

 

 

단풍님의 말.

 

'우리가 행군하는건 아니잖아? 엄홍길도 아니니, 즐기면서 가자구~'

 

역시 선배님들께서는 마음가짐부터가 다르다는 걸 느낀다.

 

난 계획한대로 가야 직성이 풀리는데, 지극히 당연한 말에서 또 한번 배우게 된다.

 

 

 

조금 오르다가 다시 휴식을 취한다.

 

계속되는 오르막에 조금씩 자주 쉬어가며 올라간다.

 

 

 

 

 

 

산악교본에 나올것 같은 추억님의 모습

 

 

 

 

 

 

 

 

 

 

 

 

 

 

 

 

 

정상을 20분 정도 앞두고 여론에 따라 정상 직전에 짐을 풀기로 한다.

 

각자 배낭을 내려놓고 쉘터와 텐트를 설치한다.

 

  

쉘터 설치 완료~!

 

 

 

 

 

 

 

 

 

 

 

 

 

 

 

 

 

 

 

 

 

 

본격적으로 요리를 시작합니다.

 

 

 

 

 

 

근데..

 

야외에 나가면 남자분들은 다 쉐프가 되는 건가?

 

왜이렇게 다 요리를 잘하시는거지?

 

 

 

 

 

 

 

1.  꼼장어 구이의 달인

 

 

 

 

 

 

 

 2. 쭈꾸미삼겹살 구이의 달인

 

 

 

 

 

 

 

 

 3. 두 달인의 모습

 

 

 

 

 

 

(스읍ㆀ)

 

 

 

 

 

 

 

 지글지글

 

이 소리를 위해 한걸음에 예봉산까지 달려왔나보다.

 

 

 

 

 

 

 

 

 

코펠 안에서는 라면이 보글보글

 

 

 

 

 

 

 

 

 

 

포크에 매달린 쭈꾸미 _ 완전 녹아

 

 

 

 

 

 

 

 

 

 

 포크에 얌전히 누워있는 꼼장어 _ 완전 쫄깃해

 

 

 

 

 

 

 

 

 

 

 포크로 낚은 삼겹살 _ 한 입 가득 고소한 맛

 

 

 

 

 

 

 

 

 

 

 

 

 라면이 다 익고

 

 

 

 

 

 

사진찍는 시간 조차 아까울 정도로 너무 맛있는 음식들을 앞에 두고 먹으니

 

올라올때의 즐거움이 배가 되고 신선놀음이 따로 없다.

 

 

 

  

 

 

 

 

 

 

 

 

 

 

 

 그릇도 필요없이 후루룩

 

 

 

 

 

 

 

 

 

 

 

 

 

 

산에서 먹는 포도는 맛의 종점

 

 

 

 

 

 

음...

 

이 이후에 감로주 원샷하고 맛이 간...ㅋ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그러고 잠을 자고

 

다음날 아침에, 침낭 지퍼를 반쯤 열고 잔 탓에

 

오른쪽 어깨에 마비 오기 직전 잠에서 깼다.

 

20분 남겨두고 못간 정상에 가서 두물머리 사진을 찍어야지..하고 올라가며 

 

아침의 텐트 모습을 담아본다.

 

 

 

 

 

 

 

 

 

 

 

 

코스가 좋아서 그런지 시간이 조금 지나니 등산객분들이 정말 많이 올라오시더라는.

 

지하철 타고 자주 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누..누...누구시죠..?!

 

 

 

 

 

 

 

 

 

 

 

 

 

 

 

부드러운 허브티를 한 잔 마시고

 

김치찌개, 라면, 김치제육볶음밥으로 아침을 먹었다.

 

 

 

 

 

 

 

 

 

 

 

 

 

 

 

 

 

 

 

 

 

   

짐을 싸고 예봉산 정상으로 출발한다.

 

정말 아기자기한 예봉산 !

 

불곡산을 조금 축소시킨다음 곱하기 3정도 해놓은 그런 등산로같았다.

 

 

 

 

 

 

 

 

 

 

 

 

 

 

 

 

 

 

 

 나는 작게 ㅋ

 

 

 

 

 

 

 

 

 

 

 

쭉쭉 걸어가서 활공장으로 간다.

  

눈으로 보고 지나치기 아까울정도의 아름다운 경치..

 

 

 

 

 

 

 

 

 

 

 

 

 

 

 

 

 

 

 

 

 

 

 

 

 

 

 

쭉쭉 걸어가서 적갑산도 찍고 하산하기로 결정.

 

운길산은 다음에 다시 오기로 하고 여운을 남겨두었다.

 

예봉산-적갑산-운길산, 이 코스는 정말 아기자기하고 재밌고 부담없고 좋은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침일찍 출발해서 하루코스로 쭉 올라갔다와도 좋을듯 ^^

 

하산길도 많이 부담스럽지 않고 폭신폭신한 흙길을 걸어내려왔다.

 

 

 

 

 

 

 

 

 

 

나뭇잎이 하나둘씩 드리워지면 푸르른 초록 속에서 흙길을 밟는 기쁨을 맛보게 될 것 같다.

 

 

 

 

도심역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지하철을 타고..

 

 

 

 

 

 

 

함께한 배낭들

 

 

 

 

 

 

 

망우역에 내려서 숯불 닭갈비를 흡입~

 

마무리도 식도락?^^

 

 

 

 

 

 

 

 

 

 

 

 

  

 

밖에서, 산에서 잠을 잔다는것.

흔히들 생각할 수 있는 노숙과는 아주 다른 개념의 비박.

무엇을 먹어도 맛이 있고 어깨가 무거워도 앞으로 계속 가고만싶어지는 것.

 

'기다려, 히말라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암산 비박  (2) 2011.03.27
비박(Biwak, Bivouac)  (1) 2011.03.16
My Own Goods  (4) 2011.03.14
청계산 비박  (0) 2011.03.05
  (0) 2011.02.18
AND